이슈동향

댄스스포츠 라틴종목 심사위원의 수준에 따른 일치도 분석

늘프른공간 0 249 2023.02.14 13:51
댄스스포츠 라틴종목 심사위원의 수준에 따른 일치도 분석
Analysis of Inter-Rater Agreement of Judges in Latin American Dance Sport
출원:한국체육학회지 참조(2021, vol.60, no.5, pp. 419-426 (8 pages)
발행기관 : 한국체육학회

본 연구는 국내에서 열린 댄스스포츠 라틴경기 결승에서 심사위원의 수준(선수출신과 심판급수)에 따른 심사 일치도와 상관성을 파악하여 심판 신뢰도의 문제를 도출하고, 심판들의 객관성과 평가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대안을 제시한데 목적이 있다. 2017년부터 2019년까지 대한민국댄스스포츠연맹 주관 아마추어 라틴종목 총 54경기 1,660건의 사례수를 바탕으로 Kendall`s W 일치도 계수를 사용하여 심사위원의 수준에 따른 심사 일치도 차이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첫째, 결승경기에서 수행된 5종목에 대한 심사 일치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심사배정 시 선수출신의 심사위원을 70%이상 배정하고, 심판 급수가 3급이 많은 경우 높은 일치도가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5종목 모두 높은 수준의 정적상관관계를 보였고, 그 중에서도 차차차와 삼바의 심사 일치도 간의 상관관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상대평가로 이루어지는 스케이팅시스템 방식의 경기에서는 처음 수행되는 종목의 경기능력이 전체종목에 대한 평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급수와 관계없이 선수출신의 심사위원이 결승전에 비중 있게 보는 평가요소가 비슷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심사자들의 간극을 줄일 수 있도록 동일한 평가요소를 통해 심사를 진행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하다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judges (ratio of players and grade of judges) in the dance sports Latin final held in Korea to derive the issue of referee confidence and suggest ways to improve judges' ability to evaluate. Based on the total number of cases of 54 amateur Latin events organized by the Korea Dance Sports Federation from 2017 to 2019, Kendall's W Consistency Coefficient was used to verify the difference in the level of the judges.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amination agreement for the five events performed in the final. Second, it was found that more than 70 percent of former judges were assigned to the judges at the time of screening, and that there was a high degree of agreement when the number of judges was high. Third, all five events showed a high level of static correlation, and among them, Cha Cha-cha and Samba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between the review agreement. In conclusion, competitive competition in the skating system method consisting of relative evaluations may affect the evaluation of the entire event, and regardless of the number of competitors, the evaluation factors that the competitor judges regard as significant in the finals are likely to be similar. Therefore, it is urgent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that can conduct screening through the same evaluation factors to reduce the gap between the reviewers.

Comments



Category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